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보

기초연금 수급자격(2025 최신! – 지금 확인하세요!)

by 정보 읽어주는 여자 2025. 3. 18.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2025 최신! – 지금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변경된 기초연금 선정 기준과 지급액, 그리고 소득인정액(소득 계산) 산출 방법에 대해 쉽게 풀어 설명드릴게요. 특히, 금액이 나오는 부분은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표로 정리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2025년 기초연금 주요 변경 내용

2025년에는 기초연금을 받기 위한 소득 인정액 기준과 지급액이 전년보다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 단독가구: 월 소득인정액 228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월 소득인정액 364만 8,000원 이하

또한, 물가 상승률 2.3%를 반영하여 지급액도 인상되어,

  • 단독가구: 월 최대 34만 2,510원
  • 부부가구: 월 최대 54만 8,000원

* 단독가구는 2024년 213만 원에서 15만 원 증가, 부부가구는 340만 8,000원에서 24만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준 및 지급액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자격
구분 소득인정액 기준 기초연금 지급액 (전액 수급 시)
단독가구 228만 원 이하 34만 2,510원
부부가구 364만 8,000원 이하 54만 8,000원

기초연금을 전액 수급하기 위한 조건

기초연금을 전액 받기 위해서는 소득 인정액 외에도 현금, 재산, 그리고 근로소득 각각에 대한 기준이 따로 있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전액 수급을 위한 각 항목별 기준

항목 단독가구 기준 부부가구 기준
현금 6억 100만 원 이하
(소득인정액: 193만 7,490원 이하)
9억 5천만 원 이하
(소득인정액: 310만 원 이하)
재산 (대도시 기준) 7억 1,600만 원 이하 (대도시 기준) 10억 6,500만 원 이하
근로소득 437만 7,000원 이하
(전액 수급: 388만 7,000원 이하)
745만 1,000원 이하
(전액 수급: 666만 8,000원 이하)

* 재산 기준은 ‘대도시’ 외에도 중소도시, 농어촌 등으로 차이가 있으나 여기서는 대도시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소득인정액(소득 계산) 산출 방법

기초연금의 수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항목으로 나뉩니다.

소득 평가액 

소득 평가액은 근로소득 등 실제로 발생하는 소득을 평가하여 산출합니다.

계산 공식:

  • 근로소득 부분: 0.7 × (근로소득 – 1,120,000원)
    (여기서 1,120,000원은 기본 공제액입니다.)
  • 기타 소득 부분: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임대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예시:
단독가구의 경우, 근로소득 2,000,000원과 기타 소득 300,000원이 있다면
0.7 × (2,000,000원 – 1,120,000원) + 300,000원 = 0.7 × 880,000원 + 300,000원 = 616,000원 + 300,000원 = 916,000원 (월 소득 평가액)

재산 전환액 

재산 전환액은 보유하고 있는 재산금융자산 등을 일정 기준 공제 후, 연 4%의 환산율(연 4% → 월 환산 시 4%/12)을 곱해 산출합니다.

계산 공식:

재산 전환액 = {[(일반 재산 – 기본 재산 공제) + (금융재산 – 20,000,000원)] × 0.04} / 12

기본 재산 공제 기준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 대도시: 약 1억 3,500만 원
  • 중소도시: 약 8,500만 원
  • 농어촌: 약 7,250만 원

또한, 고가의 자동차(40,000,000원 이상)나 멤버십(골프회원권 등) 등은 별도 적용됩니다.

 

소득인정액 산출의 주요 항목 요약

항목 산출 방식 참고사항
근로소득 평가액 0.7 × (근로소득 – 1,120,000원) 일일 소득, 공공근로소득, 자영업 제외
기타 소득 평가액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임대소득 등 전액 산출 별도 공제 없음
재산 전환액 {[(일반 재산 – 기본 공제) + (금융재산 – 20,000,000원)] × 0.04} / 12 지역별 기본 재산 공제(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적용

* 소득인정액은 위 두 항목을 합산하여 산출하며, 부채가 있는 경우에는 부채액의 4% 연 환산액(부채 × 0.04 / 12)이 차감됩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쉽게 정리하면?

  1. 근로소득이 있다면?
    • 먼저 1,120,000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의 70%를 계산합니다.
    • 여기에 사업소득이나 임대소득 등 기타 소득을 모두 합산합니다.
  2. 재산이 있다면?
    • 보유한 일반 재산에서 해당 지역의 기본 공제액(대도시: 약 1억 3,500만 원 등)을 뺍니다.
    • 금융재산은 20,000,000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을 포함합니다.
    • 이 금액에 연 4%의 소득환산율을 적용하고, 월 단위로 나눕니다.
  3. 부채가 있다면?
    • 부채액의 연 4%를 계산하여 월 단위로 차감합니다.

이렇게 산출된 소득인정액이 각 가구별 기준(단독 228만 원, 부부 364만 8,000원 이하)보다 낮으면 기초연금 대상이 됩니다.

 

계산하는게 어렵다면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를 통해 보다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확인하러 가기

 

소득 계산 기준(소득인정액 산출) 상세 안내

아래는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소득 계산 기준(소득인정액 산출) 방법에 대한 상세 안내입니다.

소득 평가액 

계산 공식: 소득 평가액 = {0.7 × (근로소득 – 1,120,000원)} + 기타 소득
- A: 근로소득에서 1,120,000원을 공제 후 70% 적용
- B: 기타 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임대소득 등 전액 산출)

예시) 단독가구의 경우, 월 근로소득이 2,000,000원이고 기타 소득이 300,000원이 있다면:
0.7 × (2,000,000원 – 1,120,000원) + 300,000원 = 616,000원 + 300,000원 = 916,000원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전환액 

계산 공식:
재산 전환액 = {[(일반 재산 – 기본 재산 공제) + (금융재산 – 20,000,000원)] × 0.04} / 12
- 기본 재산 공제 기준은 지역별로 상이함: 대도시 (약 1억 3,500만 원), 중소도시 (약 8,500만 원), 농어촌 (약 7,250만 원)

※ 고가의 자동차(40,000,000원 이상)나 멤버십 등은 별도 적용됩니다.

부채 공제

보유한 부채액에 대해 연 4%를 계산한 후 월 단위로 차감합니다.
예) 부채 5,000만원 → 5,000만원 × 0.04 = 200만원, 200만원 / 12 ≈ 16만 6,667원 차감

기초연금 수급자격

 

소득인정액 산출 상세 안내 요약

항목 산출 방식 비고
근로소득 평가액 0.7 × (근로소득 – 1,120,000원) 기본 공제 후 70% 적용
기타 소득 평가액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임대소득 등 전액 별도 공제 없음
재산 전환액 {[(일반 재산 – 기본 공제) + (금융재산 – 20,000,000원)] × 0.04} / 12 지역별 기본 재산 공제 적용
부채 공제 (부채액 × 0.04) / 12 월 차감
기초연금 수급자격

위의 두 항목(소득 평가액과 재산 전환액)을 합산한 값에서 부채 공제를 차감한 결과가 소득인정액이 됩니다. 이 값이 기준치(단독 228만 원, 부부 364만 8,000원 이하)보다 낮으면 기초연금 수급 대상이 됩니다.

 

마치며

기초연금 수급자격

 

2025년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소득 계산 방법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위의 표와 예시를 참고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계산 과정이 어려우시면 모의계산기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소득인정액 확인하러 가기

 

 

 그리고 추가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보건복지부 상담센터(국번없이 129번)나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또 가장 혼돈할 수 있는 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행복한 노후, 안정된 미래를 위한 기초연금 정보를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